기록

기록

前 동도극장, 現 우리은행 동소문로 지점의 측면 모습이다. 건물 측면에서는 우리은행뿐만 아니라, 어학원, 산후조리원, 커피숍 간판을 볼 수 있다.
前 동도극장은 현재 우리은행이 되었으며, 건물의 많은 공간을 우리은행이 차지하고 있다. 과거에 동도극장이라는 공간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다.
前 동도극장을 가까이 촬영한 사진이다. 우리은행 간판이 크게 있고, ALLERMAN이라는 가구점이 있다. 과거의 이 공간은 우리은행이 아닌, '동도극장' 간판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성북천 곳곳에서 위의 사진과 같은 하수구 덮개를 종종 볼 수 있다. 흡사 한옥 대문의 전통적인 문양과 비슷한 느낌으로,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동소문동2가 한옥밀집지역의 한옥이다. 한옥들의 처마 끝이 닿을 정도로 다닥다닥 붙어 있다.
동소문동2가의 한옥밀집지역은 길이 매우 좁다. 또한, 위의 사진처럼 한옥의 틈 사이로 골목길이 이어져 있다.
동소문동2가 한옥밀집지역에 위치한 한옥 형태의 지물포 모습이다.
오래된 한옥이지만, 창문의 모습은 현대적이다. 이처럼 한옥밀집지역에서는 한옥의 현대적 구성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화창한 오후의 동소문동2가 한옥밀집지역 골목이다.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옥의 모습은 데칼코마니같다.
동소문동2가 한옥밀집지역의 모습이다. 주민들이 TV 보는 소리가 들리기도 하고, 오손도손 이야기를 나누는 주민들의 모습도 볼 수 있다.
오래된 한옥의 대문이다. 도어락을 설치한 대문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한옥의 모습을 보여준다.
한옥은 주로 목재로 만든 대문이 많지만, 위의 사진에서 보이는 한옥은 현대화된 모습으로 철로 제작한 대문이다.
한옥의 담장 모습이다. 인조석 위에 벽돌을 쌓은 담장으로, 시멘트를 칠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마을미술프로젝트의 일종으로, 폐병으로 재활용해 제작한 작품이다. '붕어 삼형제의 나들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다. 붕어 조형물 주변에 풀이 무성하게 자라난 모습을 통해 자연과 친화적인 예술 조형물을 보여준다.
성북천에서 위를 올려다보면 연습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도 성북천을 걷다보면, 여러 연습실과 극단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성북천 주변에는 공연 및 예술 기관이 가까이 있다.
한성대 입구역에 연등을 설치함으로써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고 있다.
성북천 분수광장의 조형물이다. 특히, 많은 사람이 지나다니는 삼선교 및 성북천과 가까운 성북천 분수광장에 조형물을 설치함으로써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고 있다.
전통적인 한옥의 기와지붕과 현대식 주택의 모습이 합쳐진 건축양식이다. 갈색의 기본적이고 현대적인 창문의 모양이다. 창문 주변의 벽돌무늬 벽면도 현대적인 모습이 느껴진다.
전통적인 한옥의 기와지붕과 현대식 주택의 모습이 합쳐진 건축양식이다. 십자문양이 겹겹이 겹쳐진 창문의 모양이 특이하다. 녹이 슨 것을 보고 세월이 어느정도 많이 흘렀음을 알 수 있다.
전통적인 한옥의 기와지붕과 현대식 주택의 모습이 합쳐진 건축양식이다. 요즘에 잘 볼 수 있는 기본적인 흰색 플라스틱의 창문의 모습이다.
한옥의 전통적 요소와 우편함, 도어락 장치 등 현대적인 것이 어우러진 모습이 인상깊다. 또한 우편함에 꽂아진 벚꽃나무 가지의 모습이 미적인 아름다움을 더해주기도 한다.
동소문동 한옥단지에 있는 한옥 대문의 대부분은 정 가운데 위치에 위 문양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한옥 건축물의 모습이다.
극단 불에서 연출한 연극 의 홍보 포스터이다. 공연장소는 대학로 드림시어터이며 공연기간, 연출, 감독, 협찬, 문의 등의 정보가 적혀 있다.
극단 불에서 연출한 <공공공공>이라는 연극의 홍보 포스터이다. 공연장소는 대학로 드림시어터이며 공연기간, 출연, 협찬, 문의 등의 정보가 적혀 있다.
보컬, 작곡, 기타, 피아노 등 실용음악을 중심으로 수강생들을 받아 가르치는 보컬학원이다. 취미목적, 입시목적 모두 운영하고 있다.
*제목: 선녀도 *작가: 정연종 *작품내용: 삼선동 남쪽의 옥녀봉 봉우리에 하늘에서 내려온 세 선녀와 옥녀가 놀았다는 전설을 소재로 하여 경쾌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하고 정거장의 특징을 나타낸다.
기와지붕 아래에 지붕의 뼈대를 이루는 나무인 서까래와 창문 그리고 담장의 모습을 보여준다. 담장 윗부분은 벽돌, 아랫부분은 인조석을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