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기록

창의관 3층에 위치하고 있는 사물함이다. 개 모양의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창의관 3층에 위치하고 있는 사물함이다. 몇몇 사물함에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창의관 2층에 위치하고 있는 사물함이다. 사물함에 여러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창의관 2층에 위치하고 있는 사물함이다. 여러 그림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창의관 2층에 위치하고 있는 사물함이다. 사물함에 그림, 글씨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창의관 2층에 위치하고 있는 사물함이다. 여러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2019년 1학기 축제와 함께 문헌정보과 학생회에서 주점을 운영한다는 것을 안내하는 대자보이다.
코로나 시기에 건물에 들어가기 전 체온을 확인 할 수 있는 열 감기지 이다.
코로나 시기에 접촉하지 않고 간편하게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다.
코로나로 인해 대면으로 진행 되었던 책또래 프로그램을 웹엑스를 사용하여 비대면으로 진행하고 있다.
탐구관 5층 테라스에서 본 장수마을이다. 곳곳에 빨간 지붕의 집들이 보이고 장수마을 뒤에 낙산성곽이 위치해있다. 또한 사진 하단에 빨래 건조대가 자리잡고 있으며 사진 중앙에 장수마을 주민이 보인다.
시험기간에 학술정보관 내부에서 공부하는 학생의 사진이다. 다른 구역과 다르게 서가쪽 테이블에는 사람이 없고 한적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
학술정보관 5층에 위치한 휴식공간 사진이다. 시험기간이라서 학생들이 많이 앉아 있으며, 공부를 하고 있는 흔적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상상관 2층의 활용 용도는 다양하다. 그 중 한성대학교 캠퍼스타운 지역상생 프로그램에서 진행했던 작품을 전시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상상관 2층의 활용 용도는 다양하다. 그 중 한성대학교 캠퍼스타운 지역상생 프로그램에서 진행했던 작품을 전시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학생들이 전시작을 구경하고 있는 사진이다.
상상관 2층의 활용 용도는 다양하다. 그 중 한성대학교 캠퍼스타운 지역상생 프로그램에서 진행했던 작품을 전시하는 모습의 사진이다. 이를 관람하는 학생의 모습이 담겨있다.
수업 두번째주 한성대캠퍼스에서 기록할 만한 것들을 찾아 필드레코딩을 나가고 있다. 탐구관 505호 강의실을 나와 탐구관 앞 삼학송 옆을 지나고 있는 학생들.
수업 두번째주 한성대캠퍼스에서 기록할 만한 것들을 찾아 필드레코딩을 나가고 있다. 탐구관 505호 강의실에서 낙산공원으로 향하고 있는 학생들
수업 두번째주 한성대캠퍼스 필드레코딩을 위해 낙산공원의 모습을 담고 있는 학생들
2022년도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 프로젝트인 '한성대캠퍼스 아카이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상상관의 상상홀 계단을 사진기록으로 남기고 있는 모습
2022년도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 프로젝트인 '한성대캠퍼스 아카이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진리관의 층별안내도를 사진기록으로 남기고 있는 모습
2022년도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 프로젝트인 '한성대캠퍼스 아카이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교내 여러가지 상징물을 기록화하고 있는 모습. 사진에 있는 탑은 창립의 탑임.
2022년도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 프로젝트인 '한성대캠퍼스 아카이빙'에 참여하여 한성대캠퍼스의 나무를 사진기록으로 남기고 있는 모습
2022년도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 프로젝트인 '한성대캠퍼스 아카이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필드레코딩에서 생산한 기록을 주제별로 구분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2022년도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 프로젝트인 '한성대캠퍼스 아카이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필드레코딩에서 생산한 기록을 주제별로 구분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2022년도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 프로젝트인 '한성대캠퍼스 아카이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필드레코딩에서 생산한 기록을 주제별로 구분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2022년도 디지털인문정보학트랙의 기록선별과 평가 수업 프로젝트인 '한성대캠퍼스 아카이빙'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필드레코딩에서 생산한 기록을 주제별로 구분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김예진, 최지원, 성지희